ENG

응용분야

전력망

전력망 전력품질 개선

유효전력 공급을 통한 신재생 에너지 전력망 관성(Inertia) 개선

Concept
  • 신재생 에너지(풍력, 태양광 등)는 기존 에너지원 (화석, 원자력 등) 과 달리 전력 관성이 떨어져 전력망의 혼선(공급 에너지 부족)을 발생 시킴.
  • 이러한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망에 유효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.
  • 높은 출력밀도를 가진 울트라캐퍼시터는 가장 적합한 유효 전력 공급원.

Technical Challenge
  • 급격한 부하 변동은 일시적 주파수 변동 현상을 야기함
  • 이로 인해 계통 측면에서 큰 충격이 발생
  • 관성이 없어 전력 계통의 충격(불안정)을 보완할 수 없음
  • 최악의 경우, 광역 정전 발생으로 인한 국가 규모 피해 발생
울트라캐패시터 솔루션
  • 주파수 관성 없는 재생 가능 에너지 그리드에 능동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
  • 수초 이내에 수백 MW의 전력 공급이 필요하며 시스템 요구 수명은 20년 이상
  • Li-ion 배터리 대비 빠른 충방전 및 고출력 특성을 통해 국가 전력망의 부하 변화를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
Recommended module
  • LSUM 051R3C 0166F EA

  • LSUM 108R0C 0083F YD3P

  • LS UltraGrid Module (19’’ Rack Module)

  • LS UltraGrid (19’’ Cabinet)

하이브리드 ESS

울트라캐퍼시터 + LIB : 화재 위험성 감소 및 안정적 전력 공급

  • 설치현황 : 유럽, 한국
  • 울트라캐퍼시터의 순간 고출력 기능으로 ESS의 초기 고출력을 대응하여,LIB의 부하감소. 그 결과,
    1) 안전성 증가 – LIB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 감소
    2) 피크 타임에도 안정적 전력 공급
    3) 배터리 수명 증가
Recommended module
  • LSUM 051R3C 0166F EA

  • LSUM 108R0C 0083F YD3P

  • LS UltraGrid Module (19’’ Rack Module)

  • LS UltraGrid (19’’ Cabinet)